BGM-109G 그리폰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BGM-109G 그리폰은 냉전 시기 북대서양 조약 기구(NATO)가 소련의 SS-20 중거리 탄도 미사일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한 지상 발사형 핵 탑재 순항 미사일이다. 미국 해군의 토마호크 미사일을 개량하여 개발되었으며, 핵탄두 W84를 탑재하고, 터보팬 엔진과 TERCOM 유도를 통해 저고도로 비행하며, 약 2,500km의 사거리를 가졌다. 1980년대 초 미국과 소련의 중거리 핵미사일 경쟁의 일환으로 서유럽에 배치되었으나, 1987년 중거리 핵 전력 전폐 조약 체결로 폐기되었다. 대한민국 육군은 BGM-109G 그리폰과 유사한 지상 발사형 순항 미사일인 현무-3를 실전 배치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미국의 순항 미사일 - 토마호크 (미사일)
토마호크 미사일은 미국에서 개발되어 1983년부터 실전 배치된 장거리 아음속 순항 미사일로, 수상함과 잠수함에서 발사 가능하며 핵탄두 또는 재래식 탄두를 탑재하고 GPS, TERCOM, DSMAC 등 다양한 유도 방식을 사용하여 대지 및 대함 공격 임무를 수행하는 여러 개량형과 변종이 존재하며, 최신형 블록 V는 향상된 정밀도와 통신 기능을 갖추고 있으나 최신 대공 미사일 시스템에 취약하다는 지적도 있다. - 미국의 순항 미사일 - AGM-158C LRASM
록히드 마틴에서 개발한 AGM-158C LRASM은 GPS 교란 환경에서도 자율적으로 목표를 탐지하고 공격할 수 있는 장거리 대함 미사일로, 미 해군과 공군에서 운용 중이며 다양한 플랫폼에서 발사 가능하다.
BGM-109G 그리폰 | |
---|---|
개요 | |
![]() | |
기능 | 장거리, 전천후, 아음속 순항 미사일 |
개발사 | 제너럴 다이내믹스, 맥도넬 더글러스 |
대당 가격 | 130만 달러 |
배치 시기 | 1983년 - 1991년 |
엔진 | |
종류 | 윌리엄스 인터내셔널 F107-WR-402 터보팬 엔진과 고체 연료 부스터 |
제원 | |
발사 중량 | 1,200 kg (2,600 lb) |
길이 | 5.56 m |
지름 | 0.52 m |
날개폭 | 2.67 m |
속도 | 880 km/h |
사거리 | 2,500 km |
탄두 | |
종류 | 탄두 중량 176 kg, 150 kt W84 핵탄두 |
유도 방식 | |
방식 | INS, TERCOM |
신관 | FMU-148 (TLAM 블록 III 이후), 특수 목적용 기타 신관 |
발사 플랫폼 | |
플랫폼 | 트럭 (TEL) |
2. 역사
냉전 후기 북대서양 조약 기구는 소련군의 SS-20 중거리 탄도 미사일에 대응하기 위해 핵 전력 강화를 추진했으며, 그 일환으로 BGM-109G 그리폰 개발 및 배치가 진행되었다.
1983년부터 서유럽에 배치가 시작되었으나, 유럽에서의 핵 전력 증강은 광범위한 평화 운동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.[6]
미사일 322기, 발사기 95기가 배치되었으며,[3] 1988년 INF 조약 체결로 폐기 대상이 되어 1991년까지 박물관 전시용으로 사용 불능 처리된 8기를 제외하고 모두 폐기되었다.[1]
2. 1. 개발 배경
냉전 후기 북대서양 조약 기구(NATO)는 소련군의 SS-20 중거리 탄도 미사일에 대응하기 위해 핵 전력 강화를 추진했으며, 그 일환으로 BGM-109G 그리폰 개발 및 배치가 진행되었다.GLCM은 미국 해군이 개발한 토마호크를 개량한 것으로, BGM-109G 형식 번호가 부여되었다.[2] 이동식 지상 발사 설비를 사용했으며, 4연장 발사관을 갖춘 트레일러에서 발사되었다. 미사일은 모두 핵탄두를 탑재했으며, W84가 탑재되었다.[2][3] 토마호크의 파생형으로,[1] 로켓 부스터로 발사되어 터보팬 엔진을 사용하고,[1] TERCOM 유도를 통해 저고도로 순항한다.[3] 아음속 미사일이며, 사거리는 약 2500km이다.[3] 이는 동 시기에 서독에 배치되어 있던 퍼싱 II 탄도 미사일의 약 1770km보다 길다.
공군에서의 지상 발사 시스템 개발은 1977년부터 시작되었다.[2] 1983년부터 유럽에서의 전역 핵 전력(Theater Nuclear Forces) 현대화 및 NATO 이중 결정 방침에 따라 서유럽에 배치가 시작되었다.[4][5] 그러나 유럽에서의 핵 전력 증강은 광범위한 평화 운동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.[6]
2. 2. 미소 간 군비 경쟁
1980년대 초반, 미국 공화당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과 소련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서기장은 중거리 핵미사일 경쟁으로 세계적인 이슈를 만들었다. 2000년대 미국의 유럽 패트리어트 미사일 설치와 러시아의 유럽 SS-26 배치와 같은 대립처럼, 1980년대 초반에도 비슷한 경쟁이 있었다.1979년 소련은 유럽에 SS-20 중거리 핵미사일을 배치했고, 14곳의 발사장이 있었다. 이에 대응하여 미국은 서독에 퍼싱2 중거리 핵미사일과 BGM-109G GLCM 지상발사형 크루즈 핵미사일을 배치하려 했다.[2]
당시 미소 간의 대립은 매우 팽팽한 긴장을 유발했는데, 양국이 중거리 핵미사일 유럽 배치를 취소하자 소련은 SS-20을 극동지역으로 이동시켰다. 이는 한국과 일본의 미군이 중거리 핵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다는 이유 때문이었다.
1987년 INF 조약이 체결되어 양측은 중거리 핵미사일을 모두 폐기하기로 합의했다. 냉전 후기 북대서양 조약 기구(NATO)는 소련군의 SS-20 중거리 탄도 미사일에 대응하기 위해 핵 전력 강화를 추진했으며, 그 일환으로 BGM-109G 그리폰의 개발 및 배치가 진행되었다.[4][5]
3. 제원
BGM-109G 그리폰은 미국 해군의 토마호크 미사일을 개량한 지상 발사형 순항 미사일이다.[2] W84 핵탄두만을 탑재하며, 4연장 발사관을 갖춘 이동식 트레일러에서 발사된다.[2][3] 로켓 부스터로 발사된 후 터보팬 엔진을 사용하며, TERCOM 유도를 통해 저고도로 순항한다.[1][3]
항목 | 제원 |
---|---|
형식번호 | BGM-109G[2] |
탄두 | W84 핵탄두 (무게 176kg, 폭발력 0.2~150kt)[2][3] |
엔진 | 터보팬 엔진[1] |
유도 방식 | TERCOM[3] |
속도 | 아음속[3] |
사거리 | 약 2,500km[3] |
4. 배치 부대
부대명 | 소재지 |
---|---|
제38전술 미사일 비행단 | 서독 |
제303전술 미사일 비행단 | 영국 |
제485전술 미사일 비행단 | 벨기에 |
제486전술 미사일 비행단 | 네덜란드 (48기 배치 예정이었으나 실탄 배치는 이루어지지 않음) |
제487전술 미사일 비행단 | 이탈리아 |
제501전술 미사일 비행단 | 영국 |
제868전술 미사일 훈련대대 | 미국 애리조나주 |
5. 한국과의 관계
대한민국 육군은 현무-3를 실전배치하고 있다. 현무-3는 미국의 그리폰과 유사한 지상 트럭 발사형 순항 미사일이지만, 그리폰이 핵탄두만 탑재한 것과 달리 재래식 탄두만 탑재했다.[1]
5. 1. 현무-3
대한민국 육군은 2016년 현재 그리폰과 같은 지상 트럭 발사형 순항 미사일인 현무-3를 실전배치하고 있다. 미국 그리폰이 핵탄두만 탑재했지만, 한국 현무-3는 재래식 탄두만 탑재했다.5. 2. 대한민국의 입장
대한민국 육군은 2016년 현재 그리폰과 같은 지상 트럭 발사형 순항 미사일인 현무-3를 실전배치 중이다. 미국의 그리폰이 핵탄두만 탑재했지만, 한국의 현무-3는 재래식 탄두만 탑재했다.참조
[1]
웹사이트
General Dynamics/McDonnell Douglas BGM-109G Gryphon
https://www.national[...]
The National Museum of the U.S. Air Force
2015-05-29
[2]
웹사이트
General Dynamics/McDonnell Douglas BGM-109G "Gryphon" Ground-launched Cruise Missile S/N 280
http://www.hill.af.m[...]
Hill Aerospace Museum
2006-02-17
[3]
웹사이트
The Missile Threat / Tomahawk
https://missilethrea[...]
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
null
[4]
웹사이트
外交青書 西欧地域
https://www.mofa.go.[...]
外務省
1981-01-01
[5]
간행물
NATO「二重決定」の成立と西ドイツ : シュミット外交研究序説
https://hdl.handle.n[...]
成蹊大学法学会
2021-08-20
[6]
간행물
欧州平和運動に関する米国のインテリジェンス分析 : 国務省、ACDA、CIA による評価を中心に
https://hdl.handle.n[...]
北海道大学公共政策大学院
2021-08-20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